1 톰 행크스와 ‘윌슨’
"캐스트 어웨이"는 2000년에 개봉한 생존 드라마 영화로,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이 연출하고 톰 행크스가 주연을 맡았다. 이 영화는 한 남자가 비행기 추락 사고로 무인도에 홀로 갇혀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며, 삶의 의미를 되찾는 과정을 그린다.
영화는 1995년 크리스마스 시즌에 시작된다. 주인공 척 놀랜드는 FedEx의 시스템 분석가로,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생산성 문제를 해결하는 일을 한다. 그는 시간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사람으로, 개인적인 삶보다는 직업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척은 연인 켈리 프리어스와 함께 살고 있지만, 잦은 출장으로 인해 둘의 관계는 점차 멀어진다. 크리스마스 저녁, 척은 켈리에게 할아버지의 유품인 회중시계를 선물 받고, 켈리에게 작은 상자를 건네며 새해에 열어보라고 한다. 이는 결혼반지가 들어 있는 상자임을 암시한다.
척은 업무를 위해 비행기에 오르지만, 태평양 한가운데에서 폭풍우를 만나 비행기가 추락한다. 그는 유일한 생존자로 무인도에 표류하게 되고, 몇몇 FedEx 소포와 함께 살아남는다. 처음에는 구조될 것을 기대하며 소포를 열지 않고 보관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생존을 위해 소포를 열어 내부 물품을 활용하기 시작한다. 그는 날개 그림이 그려진 소포 하나만은 열지 않고 남겨둔다.
섬에서의 생활은 혹독하다. 척은 음식과 물을 구하고 불을 피우며 생존 기술을 익혀야 한다. 불을 피우려다 손에 상처를 입은 그는 화풀이로 배구공을 던지는데, 피 묻은 손자국이 공에 얼굴 모양처럼 남는다. 척은 이 공에 "윌슨"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대화를 나누며 외로움을 달랜다. 윌슨은 척에게 정서적 위안을 주며 그의 유일한 친구가 된다.
4년이 지나면서 척은 섬 생활에 적응하지만 구조될 희망은 점점 사라진다. 어느 날 화장실 벽면 조각이 섬으로 떠밀려오자 척은 이를 이용해 뗏목을 만든다. 그는 윌슨과 날개 그림 소포를 챙겨 섬을 떠난다. 바다에서 폭풍을 만나 살아남지만, 윌슨이 뗏목에서 떨어져 떠내려가자 구조하지 못하고 슬픔에 빠진다. 이후 지나가는 화물선에 의해 구조된다.
문명으로 돌아온 척은 자신이 죽었다고 여겨져 장례식까지 치러졌음을 알게 된다. 켈리는 이미 결혼해 아이를 낳고 새로운 삶을 살고 있었다. 둘은 재회하여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지만, 켈리는 가족과 함께하기로 결심하며 척과 작별한다. 켈리는 회중시계를 돌려주고, 척은 그녀가 보관했던 자신의 차를 되돌려받는다.
척은 마지막으로 날개 그림 소포를 원래 주소로 돌려주기 위해 텍사스로 향한다. 집에는 아무도 없어서 문 앞에 소포와 "이 소포가 내 생명을 구했다"는 메모를 남긴다. 이후 그는 교차로에서 길을 고민하며 멈춰 서 있다가 한 여성이 트럭으로 다가와 각 길이 어디로 이어지는지 알려준다. 그녀가 떠난 뒤, 척은 트럭 뒤편 날개 그림을 보고 미소 지으며 새로운 방향으로 걸음을 내딛는다.
"캐스트 어웨이"는 생존과 인간의 본질적인 외로움, 그리고 삶의 재발견이라는 주제를 통해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이다.
2 실화와 상상 사이 절묘한 줄타기
영화는 1700년대 스코틀랜드 선원 알렉산더 셀커크의 이야기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셀커크는 배의 안전성을 우려해 선장을 설득하다가 결국 남태평양의 후안 페르난데스 군도에 홀로 남겨져 4년간 생존했다. 그의 이야기는 이후 다니엘 디포의 소설 로빈슨 크루소에 영감을 주었으며, 이는 "캐스트 어웨이" 제작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셀커크처럼 척 놀랜드도 고립된 환경에서 생존 기술을 익히며, 외로움과 심리적 고통을 극복하려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영화는 작가 윌리엄 브로일스 주니어가 직접 겪은 경험에서 많은 부분을 차용했다. 브로일스는 멕시코의 코르테즈 해 근처 무인도에서 일정 기간 동안 홀로 생활하며 생존 기술을 익혔다. 그는 코코넛을 깨고 가오리를 먹으며 불을 피우고 대나무와 야자 잎으로 쉼터를 만드는 등 실제 생존 상황을 체험했다. 이러한 경험은 영화 속 척 놀랜드의 생존 방식에 그대로 반영됐다.
영화 속 척이 배구공 "윌슨"을 친구처럼 여기며 외로움을 극복하는 설정도 브로일스의 개인적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브로일스는 섬에서 발견한 배구공에 이름을 붙이고 대화를 나누며 고립된 상황에서 정서적 위안을 얻었다고 한다.
"캐스트 어웨이"는 셀커크와 같은 실제 생존자들의 이야기를 참고했지만, 영화 자체는 완전히 창작된 이야기다. 셀커크는 선장의 결정으로 섬에 남겨졌지만, 척 놀랜드는 비행기 추락 사고라는 극적인 사건으로 섬에 고립된다. 영화 속 척은 구조 후 문명으로 돌아와 자신의 삶과 관계를 재정립하는 과정을 겪는다. 반면 셀커크는 구조 후 다시 해적 활동에 참여하며 다른 삶을 선택했다. 이러한 차이는 영화가 현대 관객들에게 더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로 다가가기 위해 의도적으로 설정된 것이다.
결론적으로 "캐스트 어웨이"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는 아니지만, 여러 실제 생존 이야기와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현실감을 극대화했다. 특히, 작가와 배우의 철저한 준비와 연구를 통해 생존과 인간 본질에 대한 깊은 탐구를 성공적으로 담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