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상의 전환
2001년 메이저리그,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단장 빌리 빈(브래드 피트)은 뉴욕 양키스와의 디비전 시리즈에서 패배한다. 설상가상으로 팀의 주축 선수인 제이슨 지암비, 조니 데이먼, 제이슨 이스링하우젠이 더 많은 연봉을 제시한 타 구단으로 이적하게 된다.
빌리는 저예산으로 경쟁력 있는 팀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의 선수 트레이드 협상 중 예일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피터 브랜드(조나 힐)를 만나게 되고, 그의 세이버메트릭스 이론에 매료된다.
빌리와 피터는 전통적인 스카우팅 방식을 버리고 선수들의 출루율(OBP)을 중심으로 저평가된 선수들을 영입하기 시작한다. 데이비드 저스티스, 스콧 해터버그, 채드 브래드포드 같은 선수들이 그 대상이었다.
이러한 혁신적인 접근법은 팀 내 스카우트들과 아트 하우 감독의 강한 반발을 불러온다. 시즌 초반 부진으로 언론의 비판도 쏟아졌지만, 빌리는 자신의 방식을 고수한다.
결국 오클랜드는 20연승이라는 아메리칸리그 신기록을 달성하며 빌리의 방식이 통했음을 증명한다. 그러나 포스트시즌에서 미네소타 트윈스에 패배하며 월드시리즈 진출에는 실패한다. 시즌 후 보스턴 레드삭스가 역대 최고액의 단장 연봉을 제시하지만, 빌리는 오클랜드에서 우승하겠다는 꿈을 위해 이를 거절한다.
2 스포츠 영화의 새 지평
머니볼은 5,000만 달러의 제작비로 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1억 1,020만 달러의 흥행 수입을 기록했다. 북미에서 7,560만 달러, 해외에서 3,460만 달러를 벌어들였으며, 개봉 첫 주말에만 1,95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로튼토마토에서 94%의 신선도를 기록했으며, 메타크리틱에서는 87점을 받아 "보편적 찬사"를 얻었다. 관객들도 시네마스코어에서 'A' 등급을 부여했으며, 2011년 35명의 평론가들이 선정한 올해의 영화 톱 10에 선정됐다.
제84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남우주연상(브래드 피트), 남우조연상(조나 힐), 각색 각본상 등 총 6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됐다. 또한 골든글로브에서 4개 부문,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3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뉴욕 비평가협회에서는 브래드 피트가 남우주연상을, 아론 소킨과 스티븐 자일리안이 각본상을 받았다. 아메리칸 필름 인스티튜트(AFI)는 머니볼을 2011년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선정했다.
머니볼은 스포츠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야구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월드시리즈 우승이 아닌 프런트의 혁신을 다룬 논픽션 작품으로서 할리우드에서 성공을 거둔 독특한 사례로 꼽힌다.
3 실제와의 주요 차이점
머니볼은 기존 스포츠 영화와는 완전히 다른 접근방식으로 성공을 거뒀다. 대부분의 스포츠 영화가 경기장에서의 드라마틱한 승리나 영웅적인 순간을 다룬 것과 달리, 이 영화는 경기장 밖 프런트의 혁신적인 도전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했다. 승리나 패배가 아닌 게임의 본질과 변화에 초점을 둔 점, 통계와 데이터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야구를 바라본 점, 전통적인 스카우팅 방식에 도전하는 혁신의 서사 등이 영화의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머니볼은 실화를 바탕으로 했지만, 영화적 효과를 위해 몇 가지 중요한 부분이 각색됐다.
피터 브랜드(조나 힐)의 캐릭터는 실존 인물인 폴 드포데스타를 기반으로 했지만 상당히 다르게 묘사됐다. 실제 드포데스타는 하버드 출신의 자신감 넘치는 운동선수 출신이었으며, 1999년부터 이미 오클랜드에서 일하고 있었다.
아트 하우 감독과 빌리 빈의 갈등 관계도 영화에서 과장됐다. 실제로는 대부분의 오클랜드 스태프들이 빈의 새로운 접근 방식을 지지했으며, 둘의 관계는 더욱 전문적이고 협력적이었다.
영화에서는 빌리 빈이 직접 선수들을 코칭하고 거래 소식을 전하는 등 감독의 영역까지 관여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프런트와 현장 사이에 명확한 경계가 있었고, 이러한 업무는 전적으로 감독의 몫이었다.
영화는 해터버그나 브래드포드 같은 저평가 선수들의 영입이 팀의 성공 요인인 것처럼 보여주지만, 실제로는 미구엘 테하다와 같은 리그 MVP 선수와 뛰어난 선발 투수진이 있었다는 점이 생략됐다.
이러한 각색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빌리 빈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야구의 전통적인 운영 방식을 혁신했다는 핵심적인 메시지는 충실히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