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버지를 잃은 아들의 울분
'듄: 파트 2'는 하코넨 가문의 기습으로 아버지를 잃고 프레멘 부족에 합류한 폴 아트레이데스(티모시 샬라메)의 이야기를 그린다. 어머니 레이디 제시카(레베카 퍼거슨)와 함께 사막의 자유민 프레멘들 사이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한 폴은 차네(젠데이아)와 스틸가(하비에르 바르뎀)의 도움으로 프레멘의 삶과 문화를 배워나간다.
폴은 프레멘들 사이에서 '리산 알-가입(외계의 목소리)'이라 불리며 점차 예언된 구원자로 받아들여진다. 거대 웜을 타는 법을 익히고, 프레멘의 전투 기술을 습득하며 진정한 사막의 전사로 성장한다. 특히 차네와의 관계가 깊어지면서, 그의 비전 속에서 보았던 미래와 현실이 겹치기 시작한다.
하코넨 가문을 향한 복수를 준비하며 폴은 프레멘 전사들을 이끌고 스파이스 채굴 시설을 습격한다. 그는 게릴라 전술로 하코넨의 스파이스 생산을 방해하면서, 제국의 경제에 타격을 준다. 이 과정에서 폴의 명성은 아라키스 전역으로 퍼져나가고, 더 많은 프레멘 부족이 그의 깃발 아래 모여든다.
하지만 폴은 자신의 비전 속에서 본 피로 물든 성전(聖戰)의 미래에 대해 고뇌한다. 자신을 메시아로 받드는 프레멘들의 광신적인 믿음이 우주 전체를 피로 물들일 것이라는 예지능력이 그를 괴롭힌다. 어머니 제시카가 베네 게세리트의 계획에 따라 프레멘들 사이에 메시아 신화를 퍼뜨린 것을 알게 되면서, 그의 고뇌는 더욱 깊어진다.
폴은 마지막으로 하코넨 남작(스텔란 스카스가드)과 그의 조카 페이드 로타(오스틴 버틀러)에 맞서 결전을 준비한다. 프레멘들과 함께 거대 웜을 타고 아라킨 성으로 진격하는 폴. 황제의 정예부대 사르두카와 하코넨의 군대가 그들을 기다리고 있다. 폴은 페이드 로타와의 일대일 결투에서 승리하고, 하코넨 가문을 향한 복수를 완수한다.
아라키스의 지배자가 된 폴은 황제의 딸과의 정치 혼인을 앞두고 있지만, 그의 마음은 차네에게 있다. 프레멘들의 메시아가 되어 전 우주를 피로 물들일 것인가, 아니면 자신의 길을 선택할 것인가. 폴은 마지막 순간까지 자신의 운명과 마주한다.
'듄: 파트 2'는 단순한 복수극을 넘어, 권력과 신념, 운명과 자유의지 사이에서 고뇌하는 한 젊은이의 성장을 그려낸다. 프랭크 허버트의 원작이 가진 깊이 있는 주제의식을 스펙터클한 영상미로 구현해 낸 수작이다.
2 블록버스터의 새로운 기준 제시
'듄: 파트 2'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IMAX 카메라로 촬영된 아라키스 사막의 광활한 풍경은 압도적인 스케일을 자랑한다. 특히 거대 웜의 등장 장면은 실제 크기를 구현하기 위해 특수효과팀이 1년 넘게 작업했다. 그레고르 프레이저 촬영감독은 사막의 푸른빛 새벽과 붉은 황혼을 대비시켜 시간의 흐름을 표현했고, 각 전투 장면의 색감을 차별화해 장면의 무게감을 차별화했다.
한스 짐머의 음악은 타악기를 강조한 프레멘의 전통 음악과 현대 오케스트라를 결합해 독특한 사운드를 만들어냈다. 특히 거대 웜의 울음소리는 약 100 가지 이상의 동물 소리를 조합해 만들어 귀를 즐겁게 했다. 세트 디자인팀은 아라킨성과 프레멘 시치의 내부 구조를 실제 건축가들과 상담해 설계했으며, 의상팀은 프레멘의 전통 의상 스틸슈트에 현대 감각을 더했다.
3 섬세함과 설득력
티모시 샬라메는 폴의 내면 변화를 섬세한 눈빛 연기로 표현해냈다. 특히 프레멘족의 리더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카리스마는 탁월하다. 젠데이아는 차네 역을 통해 전사의 면모와 로맨틱한 감성을 동시에 표현하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레이디 제시카 역할의 레베카 퍼거슨은, 아들을 위해 모든 희생을 감수하는 동시에 베네 게세리트의 계획도 수행해야 하는 캐릭터를 설득력 있게 연기했다.
오스틴 버틀러는 페이드 로타 역을 맡아 광기 어린 악역을 소화했으며, 하비에르 바르뎀은 스틸가르 역할로 프레멘족의 정신적 지주이자 전사의 면모를 균형 있게 표현했다. 특히 샬라메와 젠데이아의 케미스트리는 원작의 로맨스를 현대 감성으로 재해석하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듄: 파트 2'는 원작의 방대한 세계관을 충실히 구현하면서도 현대 감각으로 재해석한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스펙터클한 액션과 깊이 있는 캐릭터 묘사의 균형이 돋보이며 SF 장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비평가들 사이에서도 "SF 영화의 새로운 고전"이라는 호평을 받으며 메타스코어 79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