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얼간이, 인도를 세계에 알리다

by jmel1984 2025. 3. 26.

 

1 발리우드를 전 세계에 알리다 

"세 얼간이"는 2009년에 개봉한 인도 영화로, 라주쿠마르 히라니 감독이 연출하고, 아미르 칸, R. 마드하반, 샤르만 조시 등이 주연한 작품이다. 이 영화는 인도의 교육 시스템과 사회적 압박을 비판하며, 친구들의 우정과 꿈을 추구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세 얼간이"는 현재와 과거를 교차하며 이야기를 전개된다. 현재는 차투르라는 성공한 사업가가 친구들과의 오랜 약속을 기억하며, 과거의 친구들을 찾기 위해 여행을 시작하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차투르는 과거에 친구들과 한 내기를 기억하며, 그들이 약속한 대로 만남을 약속한다. 과거로 돌아가면, 세 친구인 파르한, 라주, 그리고 란초는 인도의 명문 공대인 ICE에서 함께 공부하는 학생들이다.

파르한은 아버지의 꿈을 이루기 위해 공대를 다니지만, 실제로는 야생 사진가가 되고 싶다. 라주는 가난한 가정 출신으로,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공부에 집중한다. 란초는 공부를 즐기는 학생으로, 창의적이고 독립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 란초는 친구들에게 자신의 꿈을 추구하라고 권유하며, 그들이 사회적 압박에서 벗어나게 도와준다.

란초의 철학은 "All is well"이라는 구호로 요약된다. 이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마음을 진정시키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이 영화는 이러한 철학을 통해 관객들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며, 삶의 도전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내적 평화를 강조한다.

 

2 한국만큼 심각한 인도 교육

"세 얼간이"는 인도의 교육 시스템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하여, 창의성과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란초는 전통적인 암기식 교육 방식에 도전하며, 학생들이 진정한 이해와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이 영화는 또한, 사회적 압박과 가족의 기대에 맞서 개인의 꿈을 추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란초의 철학은 친구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파르한은 아버지의 기대에 맞서 자신의 꿈을 찾고, 라주는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자신의 목표를 향해 나아간다. 특히, 라주가 자살을 시도하는 장면은 영화의 감정적 고조를 높이며, 친구들의 지원과 사랑이 그를 구하는 과정을 잘 그려낸다.

또한, "세 얼간이"는 친구들의 우정과 충성심을 잘 보여준다. 파르한과 라주는 란초의 도움으로 자신의 꿈을 찾고, 그들의 관계는 영화의 중심을 이루는 요소다. 특히, 세 친구가 함께하는 시간은 영화의 감동적인 순간으로,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준다.

이 영화는 또한, 인도의 사회적 문제를 다루며, 청년들에게 꿈을 추구하도록 격려하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특히, 아미르 칸의 연기는 44세에 18세 학생을 연기하며, 그의 연기력과 열정을 잘 보여줬다.

 

"세 얼간이"는 인도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특히 중국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영화는 인도의 교육 시스템과 사회적 압박에 대한 비판을 통해, 많은 청년들에게 꿈을 추구하도록 격려하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특히, 아미르 칸의 다른 영화들, 예를 들어 "P.K.", "Dangal", "Secret Superstar" 등도 큰 인기를 끌었다. 이러한 성공은 인도 영화가 전 세계적으로 더 많은 관심을 받게 하는 계기가 됐다.

이 영화는 또한,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영화로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세 얼간이"는 교육 시스템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창의성과 지식을 중시하는 새로운 교육 방향을 제안했다. 이러한 메시지는 관객들에게 깊은 반성을 유도하며, 영화의 지속적인 인기와 함께 사회적 변화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

"세 얼간이"는 인도 영화계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영화는 인도의 교육 시스템과 사회적 문제를 다루며, 청년들에게 꿈을 추구하도록 격려하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특히, 아미르 칸의 연기와 함께, 이 영화는 인도 영화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이는 데 큰 기여했다.

이 영화는 또한, 인도의 청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많은 청년들이 이 영화를 통해 자신의 꿈을 찾고, 사회적 압박에 맞서 자신을 실현하도록 격려받았다. 특히, 란초의 철학은 청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들이 삶의 도전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내적 평화를 찾도록 도와줬다.

 

영화를 보며 한국 교육 시스템이 생각났다. 한국 교육 시스템도 인도와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다. 한국은 주입식 교육과 대학 입시 위주의 시스템을 운영하며, 학생들이 암기식 학습에만 집중하게 한다. 이는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저해하며, 실생활에서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지 못한다. 특히, 한국의 교육 시스템은 성적 비교와 경쟁을 강조하여 학생들에게 큰 스트레스를 주며, 자살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다.

진정한 교육이란 무엇일까. 학생들에게 똑같은 문제를 주고 앞에서부터 많이 맞추는 사람을 세우는 줄세우기가 진정한 교육일까. 각 사람마다 고유의 재능이 있다. 그것을 찾아주는 것이 진정한 교육 아닐까. 그렇게 봤을 때 인도도, 한국도 교육이 잘못돼도 한참 잘못됐다. 잘못된 교육을 받은 아이들이 커서 어른이 되고 나라를 이끌다 보니 나라가 이렇게 됐을까. 수학문제 영어문제 몇 개 더 맞췄다고 뿌듯해하거나 기죽는 나라가 아닌 각자가 가진 재능을 발견해 모두가 가슴 펴고 살아가는 그런 나라가 됐으면 좋겠다.